삼악학교 교사 김공집(1896~1927) > 용인의 독립운동가들

본문 바로가기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는

용인의 독립운동을 기념하고 선양하기 위하여 매년 용인3.1절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용인의 독립운동유적지 답사, 용인의 독립운동가 선양학술행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용인의 독립운동가들

[해외독립운동] 삼악학교 교사 김공집(1896~1927)

글쓴이 : 최고관리자

등록일 : 2019-01-06 13:15:10

조회수 : 4,128회


7775111277acde334ab073d49e23e951_1751964412_0151.jpg

김공집 


7775111277acde334ab073d49e23e951_1751964410_91.jpg
 

김공집 흥사단 이력서 



* 요약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난 김공집(金公緝, 1896~1927)은 고향에 있는 오산학교 재학 중 교사로 있던 용인출신 독립운동가 여준으로부터 민족의식을 깨우쳤다.

졸업 후 1913년부터 2년간 용인의 삼악학교 교사로 있었으며 만주의 신흥무관 학교에서도 학생을 가르쳤다.

3·1운동에 참가하고 상해로 망명하여 안창호에 의해 흥사단 원동위원부에서 활동하였으며 비행 기술을 배워 독립운동을 펼치기 위해 중국의 군관 학교를 다녔다. 

1925년부터는 모스크바의 항공학교를 다니다가 1927년 항공기 사고로 추락하여 세상을 뜨고 말았다. 모스크바 근교에 매장되었다가, 1994년 국립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 상세(1914년 이후~)


  김공집은 여준이 교장으로 있던 신흥무관학교로 가 1914년부터 1915년까지 교원으로 활동하였다

 

 1915년 김공집은 고향 정주로 돌아와 영창학교 교원으로 1916년까지 근무하다가 일본으로 향하였다. 1917년까지 동경에서 영어를 공부하고, 1918년 상해로 건너가 1919년 상반기에는 만주 안동현에 있었다.

군자금 모집을 목적으로 조직한 비밀결사인 13도 총간부의 교통부 부장으로 활동한 김공집은 상해와 경성을 오가면서 독립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1920년 당시 상해로 망명한 후 임시정부의 노동국 총판이었던 안창호와 긴밀한 연락관계를 맺고, 광동무관학교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하였으나 중국인이 한국 학생들을 비도(비적비, 무리도 / 무리지어다니는 도적떼)라고 신문에 게재한 사건으로 인하여 다시 상해로 돌아오고야 말았다.

 

1920년 흥사단에 가입하여 활동을 전개한 후, 한단군사학교에 입학하여 1기로 졸업하고 이후 김공집의 중국에서의 활동에 대한 자료는 남아있지 않다.

한편 김공집은 1923년에는 항주에서 활동하였던 것 같다. 1922311일자로 상해일본총영사관의 <상해재류선인 지라로의 귀화의 건>에 김세쟁이란 이름으로 귀화자명단에 나오고 있다. 출신지는 평북 정주, 26, 항주청년회학교 학생등으로 나와 있다.

 

1925년 김공집은 모스크바로 가 모스크바 비행학교에 입학하여 전투기 조종훈련을 받았다.

김공집이 중국에서 비행기 조종사로 활동했다는 명확한 증거를 가지고 있지 못하나 그가 모스크바 항공학교로 유학을 떠났다는 사실, 그리고 그 당시 모스크바 항공학교에는 중국 비행기 조종사 출신들이 입학하고 있었다는 점들로 미루어 보아 아마도 그가 중국에서 비행사였을 것으로 짐작하는 것이다.(한국은 독자적으로 공군을 양성할 수 있는 입장이 못되었으므로 중국 비행학교에 입교하여 비행술을 공부하였다)

 

이국땅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국내 잡지사에 독자로서 투고도 하였는데 이는 동방잡지 7(1926121) <독자와 기자>에 실린 글에서 1925년 가을에 몽고를 거쳐 모스크바 셀프호프시로 이동하였고 모스크바에서의 비행사 훈련생활의 단편을 짐작해보고 확인할 수 있다.

김공집은 셀프호프시에서 비행 도중 기계의 고장으로 1927831일 오전 830분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하였다. 동료 박태하의 주도로 장례가 치러졌다.

1992년 국가보훈처의 사전 방문이 이루어지고 1994년 김공집의 유해를 한국에 봉환하였다.

199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목록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 TEL: 031-324-9600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3층(삼가동, 용인문화원내)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