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3.1운동 및 임시정부 100주년 위원회

본문 바로가기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는

용인의 독립운동을 기념하고 선양하기 위하여 매년 용인3.1절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용인의 독립운동유적지 답사, 용인의 독립운동가 선양학술행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용인의 독립운동가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중국 상해에서 한국독립운동자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의 명칭이다. 상해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민족운동가들의 모임, 신한청년당이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한 독립운동가들의 모임,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4월 13일 정식으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하는 민주 공화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구성한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전신인 신한청년단은 독립을 위해 강국들과의 외교적 위치를 선점하고자 1919년 파리평화회의에 대표단으로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국내외 동포사회에 통할 조직을 확대하면서 외교활동이나 독립전쟁 등을 지도, 통할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임시정부의 설립 초기에는 연통부와 교통국 등 비밀조직을 운영하여 외교활동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는 정상적인 정부 외교가 아니었으므로 여러 가지 특수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통치권이 유효하게 미치는 곳이 없었기 때문에, 국제법상 정부로 인정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민족에게 현실적으로 미치고 있는 통치권은 국제법상 불법적으로 강탈한 일제의 권력이었기 때문에, 통치권의 현실적 존재는 이념상 부정되어야 했다. 그리고 외교활동은 주로 미국과 중국에 대해 이뤄졌는데, 대미외교는 초기에, 대중외교는 종전기에 보다 두드러졌다. 그리고 초기에 파리통신부가 주도한 강화회의와 유럽 각국과 소련 등의 외교가 있었다.

초기 대미외교가 주종을 이루었던 것은 제1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를 미국이 주도하였다는 점, 또 임시정부를 이승만·노백린·김규식·안창호 등 미국 유학 또는 미국과 인연이 많은 인사가 집권하고 있었던 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국제도시인 상해에 있었으므로 구미와의 창구가 열려 있었던 점 등에 이유가 있었다.
그래서 강화회의에 대한 외교도 주로 미국정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리고 3개월 간 계속된 1921년 워싱턴회의(일명 태평양회의) 때도 미국정계를 창구로 교섭을 벌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제국주의가 국제정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당시, 민족자결의 원칙은 독일·오스트리아·터키 등 동맹국의 식민지에만 적용되었을 뿐, 도덕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조차 없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민간 외교로, 그들이 한국독립을 위한 인도주의적 고려를 심각하게 반성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특히 서재필(徐載弼)의 활약이 매우 커서, 미국인이 한국친우회를 결성할 정도였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적 처리로 인해 상대적으로 만주와 연해주(沿海州)의 독립군단체는 일제와의 독립전쟁에 집중할 수 있었다.


1919.01.18 파리평화회의의 대한민국 신한청년대표단, 1919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일동 기념사진 1919.01.18 파리평화회의의 대한민국 신한청년대표단, 1919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일동 기념사진2
(왼쪽부터) 파리평화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표단,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1919년) @독립기념관 제공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 TEL: 031-324-9600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3층(삼가동, 용인문화원내)

 
상단으로